00. 들어가며 우리는 개발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 적이 있을까? - '이 부분은 이렇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 '이건 이렇게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만 잘 짜면 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프로덕트에 대해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만들어 나가는 역할이 되어야 한다. 디자이너 및 기획자들과 '주체적으로' 사용성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 다음 스터디의 목표다. - 유쾌한 육회 스터디(UI·UX Challenge) 소개글 중 일부 발췌 - 01. Navigation (항해 · 탐색) 👾 위키피디아에 나와있는 Navigation의 정의를 찾아보면 항법 또는 항해술이라고 나와있습니다. 특히,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 또는 그러한 기술이라고 ..
All
💥 인사말 안녕하세요, 태끼입니다 〰 👋 다음 카테고리에서는 모르는 개념이나 키워드, 문법 등 다양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다음 내용은 저의 인스타 개발 로그 계정(@taekki.dev)에도 올라가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개념의 빈공간을 메꿀 수 있는 그날까지 화이팅해보겠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 💬 들어가며 UIWindow를 처음 마주하거나, 가장 많이 보는 곳이 어쩌면 SceneDelegate.swift 나 AppDelegate.swift 일지도 모릅니다. 항상 가볍게 지나치기만 했던 UIWindow가 무엇인지 이번에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이번 글은 Apple 공식문서의 구조를 바탕으로 구성했습니다. 🌱 UIWindow의 타입 📌 타입(Type) - 클래스 타입은 클래스(Cl..
💭 들어가며 모든 UI 요소의 크기가 동일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방법을 찾게 되죠 🥲 특히나 컨텐츠의 사이즈에 따라서 UI 컴포넌트의 사이즈를 동적으로 조절해주는 상황은 꽤나 자주 등장합니다. 그 중에서도 CollectionView는 단골 손님입니다. CollectionView 자체의 높이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상황이나, CollectionView Cell의 너비나 높이를 조절하는 상황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 오늘은 CollectionView Cell의 너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요구사항 우리가 구현해야할 상황은 다음과 같아요. 빨간색 박스 영역을 구현해야 하는데 각 카테고리 영역이 텍스트 길이에 맞게 동적으로 조절되어야 합니다. 스..
0.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드가 아닌 TIP을 들고왔습니다. 바로 깃허브(GitHub)에서 Issue나 Pull request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라벨(labels)에 관한 내용입니다. 우리는 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나 팀 프로젝트를 할 때 이슈 구분 · 역할 구분 · 내용 구분 등을 정확하게 위해서 라벨이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이름표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겠죠? 특히나 팀 개발을 할 때에는 더욱 유용하게 사용이 되죠. 이것이 어떤 것을 구현한건지 누가 구현한건지 한 번에 알아볼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이 됩니다. 평소에 우리는 이러한 라벨을 필요에 맞게 수정하고 추가하고 하는데요. 매번 새롭게 라벨을 설정하는 것도 이제는 지겹고 힘이 듭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조금은 해소하고자 오늘의 팁을 들고..
들어가며 우리는 개발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 적이 있을까? - '이 부분은 이렇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 '이건 이렇게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만 잘 짜면 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프로덕트에 대해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만들어 나가는 역할이 되어야 한다. 디자이너 및 기획자들과 '주체적으로' 사용성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 다음 스터디의 목표다. - 유쾌한 육회 스터디(UI·UX Challenge) 소개글 중 일부 발췌 - 01. H.I.G에서 알아본 Text Fields 본 내용은 H.I.G - Controls - Text Fields 를 편역한 것입니다. 개념 한 줄의 고정적인 높이를 가진 필드 (둥근 모서리는 선택 요소) 사용자가 필드를 탭할..
💥 새로운 시작 안녕하세요, 태끼입니다 〰 👋 블로그에 새로운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 (야호) 뭐냐구요? 바로 '✨ iOS를 위한 개념 쏙쏙' 카테고리인데요 〰 공부를 하다보면 가끔씩(맨날) 모르는 개념이나 키워드, 문법 등이 나오는데 그런 내용들을 정리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다음 내용은 저의 인스타 개발 로그 계정(@taekki.dev)에도 올라가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이건 TMI인데 숫자 인덱싱이 세 자리수죠!? 세 자리수까지 포스팅 할 그 날을 위함이라는... 뭐 그 날 쯤 되면 실력이 조금은 늘어있겠네요(하하) 그럼 오늘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 💬 들어가며 typealias에 대해 공부하던 중에 ‘서브클래싱없이 커스텀 타입의 배열을 정의하는데 유용하다’ 요런 이야기가 나와서 서브클래싱..
이보다 자세할 수 없다.. 화면 속 빨간 사각형을 따라오다보면 어느새 깃허브와 슬랙 연동이 끝나있는.. 0. 들어가며 협업을 하다보면 협업 툴로써 Slack과 Notion을 사용하게 됩니다. 우리는 그 중에서 소통 수단으로써 Slack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Github의 협업 Project에 Pull Request, Issue, Commit 등을 수행했을 때 팀원들에게 변경사항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깃허브 봇을 슬랙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체 화면을 캡처한 것이므로 잘 안 보일 수 있습니다. 화면을 확대해서 봐주세요 :) 1. 깃헙 앱 추가하는 단계 2. 내가 소식을 받고 싶은 채널에 깃허브 봇을 추가하는 단계 원하는 채널을 잘 선택해주세요. 슬랙 워크스페이스 안에 여..
😀오늘은 간단하게 Delegate Pattern을 적용해보는 예시 중에서 화면 전환 시 데이터를 담아보내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 들어가며 Delegate Pattern(😇? 😈??), 항상 공부하면서 그 순간에는 이해했고 분명 알겠는데 도대체 어느 부분에 · 또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힙니다... 저 역시도 그런데요... 어쩔 수 없어요... 다양한 상황에 써보려고 노력해보는 수 밖에 이번에 최대한 여러 상황에 사용해보면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도 알아보고 사용법에 익숙해지려고 해보겠습니다. 같이 노력해보아요. 📺 실행 화면 오늘 구현해 볼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게 상품 화면과 장바구니 담기 화면 2가지로 구성되어있구요. 우선 흐름을 설명해드릴게요. 상품 화면에서 장바구니 버튼을 클..